김세연 (197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세연은 1972년생으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서울대학교에서 국제경제학을 전공하고, ㈜동일고무벨트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제18대, 제19대,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등에서 활동했다. 바른정당, 자유한국당 등에서 활동하며 당직을 맡았고, 2022년부터 한국스마트헬스케어협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2018년 기준 약 1,629억 원, 2024년 기준 약 4,559억 원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도근가 - 박태준 (1927년)
박태준은 포항제철 설립과 성장을 이끌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군사정변 이후 경제 개발 계획 수립에 참여하고 포항제철 사장, 국회의원, 국무총리 등을 역임하며 활약했으나 정치적 논란도 있었다. - 동래초등학교 동문 - 장제원
장제원은 부산 사상구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뉴라이트부산연합 공동대표,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 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국민캠프 총괄실장 등을 맡았고, 아들의 음주운전 및 경찰관 폭행 사건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동래초등학교 동문 - 신은정
신은정은 1998년 드라마 데뷔 후 꾸준히 활동하며 '에덴의 동쪽', '미생' 등의 대표작을 통해 2008년 MBC 연기대상 황금연기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김세연 (197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세연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 | 1972년 8월 23일 |
출생지 | 대한민국 부산직할시 동래구 구서동 |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
본관 | 김녕 |
학력 |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 학사 |
종교 | 천주교(세례명: 사도 요한) |
부모 | 아버지 김진재 어머니 성효인 |
배우자 | 한상은 |
자녀 | 슬하 2남 1녀 |
경력 | |
주요 경력 | 동일고무벨트 대표이사 회장 한나라당 원내부대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 새누리당 제1사무부총장 새누리당 정책위부의장 바른정당 사무총장 바른정당 정책위원회 의장 자유한국당 중앙연수원장 여의도연구원 원장 미래통합당 공천관리위원 |
정당 정보 | |
정당 | 국민의힘 |
지역구 | 부산 금정구(18·19·20) |
의원 선수 | 3 |
의원 대수 | 18·19·20 |
2. 학력
wikitext
김세연은 제18대, 19대, 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3선 의원으로 활동했다. 3번의 임기 동안 모두 부산광역시 금정구를 지역구로 삼았다.
3. 경력
기간 내용 2005년 12월 ~ 2006년 3월 (재)고촌장학재단 이사 2006년 7월 ~ (주)동일고무벨트 대표이사 2008년 1월 ~ 2008년 2월 대통령취임준비위원회 자문의원 2008년 2월 ~ 부산 금정고등학교 총동창회장 2019년 6월 ~ (사)거리문화예술협회 고문 2021년 8월 ~ 2021년 11월 국민의힘 유승민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희망22 미래전략특별위원장 2022년 ~ 한국스마트헬스케어협회 회장 - 경제민주화실천모임 대표 - 국제민주연합(IDU) 부의장 - UN세계 평화의날 공동집행위원장 - 레인보우희망재단 명예이사장 - 청년정치학교 교감 - 상생과 통일 포럼 자문위원
4. 의정 활동
18대 총선에서는 무소속으로 당선된 후 한나라당에 복당했으며, 이후 새누리당 소속으로 재선에 성공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바른정당 창당에 참여했으나, 이후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했다. 20대 국회 임기 후반에는 자유한국당 및 후신인 미래통합당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제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정계를 은퇴했다.
국회의원 재임 기간 동안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방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등 다양한 상임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당내에서도 원내부대표, 사무부총장, 정책위원회 의장, 여의도연구원장 등 주요 직책을 맡았다. 상세한 의정 활동 내용은 아래 각 국회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4. 1. 18대 국회
2008년 5월 30일부터 2012년 5월 29일까지 제18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지역구: 부산광역시 금정구). 2008년 18대 총선에서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나, 같은 해 6월 한나라당에 복당하였다.
18대 국회 임기 동안의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월 | 주요 경력 |
---|---|---|
2008년 | 6월 | 한일의원연맹 21세기위원회 부위원장 |
7월 |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위원 | |
한나라당 청년위원회 미래세대위원회 위원장 | ||
8월 | 국회 저출산고령화대책특별위원회 위원 | |
한나라당 인권위원회 위원 | ||
9월 | 한나라당 대표최고위원 원내 특보단 | |
한나라당 국제위원회 위원 | ||
11월 | 국회 한중의회정기교류체제 청년노동분과위원회 위원장 | |
2011년 | 12월 | 한나라당 원내부대표 |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 |
4. 2. 19대 국회
2012년 5월 30일부터 2016년 5월 29일까지 부산광역시 금정구를 지역구로 하여 새누리당 소속 제19대 국회의원으로 재임했다.19대 국회 임기 동안 주로 교육 및 외교 분야 상임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당내 주요 직책도 맡았다.
- '''국회 상임위원회 활동'''
- * '''전반기'''
- ** 2012년 7월 ~ 2013년 3월: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간사
- ** 2013년 3월 ~ 2014년 5월: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
- ** ~ 2014년 5월: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 * '''후반기'''
- ** 2014년 6월 ~ 2015년 3월: 국방위원회 위원
- ** 2015년 3월 ~ 2016년 5월: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 '''당내 활동'''
- * 2013년 5월: 새누리당 제1사무부총장
- * 2015년 2월: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4. 3. 20대 국회
2016년 5월 30일 제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임기를 시작했다(부산 금정구, 새누리당). 임기 초반인 2016년 5월부터 7월까지는 새누리당 부산광역시당 위원장 권한대행을 맡았으며, 6월부터 2018년 5월까지 국회 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또한 2016년 7월부터 2017년 6월까지는 국회 정치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2019년 6월에는 국회 연구모임 Agenda 2050 대표의원을 맡았다.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인 2016년 12월, 새누리당을 탈당하고 바른정당 창당에 합류하여 정강정책·당헌당규팀장을 맡았다. 바른정당에서는 2017년 4월부터 7월까지 사무총장을, 7월부터 12월까지 정책위원회 의장 및 바른정책연구소장을 지냈다. 같은 해 11월부터 12월까지는 바른정당 원내대표 권한대행을 맡기도 했다. 국회 활동으로는 2017년 11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제20대 국회 4차 산업혁명 특별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했다.
이후 바른정당을 탈당하고 자유한국당에 복당하여 활동을 이어갔다. 2018년 8월부터 10월까지 자유한국당 중앙연수원 원장을, 9월부터 2019년 6월까지는 자유한국당 부산시당 위원장을 맡았다. 또한 2018년 10월부터 2019년 3월까지는 자유한국당 시민정치원 원장을 지냈다. 국회에서는 2018년 10월부터 2019년 6월까지 후반기 4차 산업혁명 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2019년에는 당내에서 여러 중책을 맡았다.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자유한국당 부산시당 연제구 당협위원장을 맡았고, 3월부터 12월까지는 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 원장을 역임했다. 같은 해 3월부터 5월까지는 자유한국당 文정권 경제실정백서특별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4월부터 2020년 2월까지는 자유한국당 부산시당 21대 총선공약준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6월부터 9월까지는 자유한국당 2020 경제대전환 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2019년 7월부터 임기 종료 시점인 2020년 5월까지는 제20대 국회 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2020년 제21대 총선을 앞두고는 1월부터 2월까지 자유한국당 21대총선 공천관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당명이 미래통합당으로 변경된 후인 2월부터 3월까지 미래통합당 21대총선 공천관리위원직을 이어갔다. 이후 3월부터 4월까지는 미래통합당 부산시당 2020 통합 선거책위위원회 명예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았다. 김세연 의원은 제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2020년 5월 29일, 20대 국회의원 임기를 마쳤다.
5. 가족 관계
- 할아버지: 김도근(金稌根, 1917 ~ 2005) - ㈜동일고무벨트 창업주이다. 조선시대 형조참판을 지낸 김문기(金文起)의 직계 후손이다.
- * 아버지: 김진재(金鎭載, 1943 ~ 2005) - 5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동일고무벨트 대표이사 회장을 역임했다.
- * 어머니: 창녕 성씨. 아버지는 일제강점기 조선귀족인 성기운(成岐運)이다.
- 장인: 한승수(韓昇洙, 1936 ~ ) - 제39대 국무총리를 지냈으며, 유엔총회 의장협의회(CPGA) 의장을 역임했다.
- * 장모: 홍소자 (남양 홍씨 당홍계(唐洪系)). 박근혜 전 대통령의 이종사촌이다.
- ** 부인: 한상은 (청주 한씨)
자녀: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6.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연도 | 선거 종류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2008년 | 총선 | 18대 | 국회의원 | 부산 금정구 | 무소속 | 63,806 표 | 64.77% | 1위 | 당선 | 초선 |
2012년 | 총선 | 19대 | 국회의원 | 부산 금정구 | 새누리당 | 74,103 표 | 66.25% | 1위 | 당선 | 재선 |
2016년 | 총선 | 20대 | 국회의원 | 부산 금정구 | 새누리당 | 65,038 표 | 56.59% | 1위 | 당선 | 3선 |
7. 재산
2018년 기준 재산은 약 1629억원이었다.[1] 2024년 기준 재산은 약 4559억원으로 증가했으며, 이 중 현금성 재산은 약 1100억원에 달한다. 이는 국내 부호 순위 55위에 해당한다. 김세연 전 국회의원을 포함한 일가의 재산은 약 1.5조원 정도로 추정된다.
8. 평가 및 비판
공인으로서 법안 발의 시 국민성 증진과 기업 규제 완화 등 사회적 문제 해결에 관심을 보였으며, 관련 분야 법안을 지속적으로 발의했다.[2] 국민성에 문제가 있다는 인식하에 국민기본교육법 제도 도입을 추진하며 국민성 증진에 노력을 기울였으나, 당시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해당 법안들은 통과되지 못했다. 주요 입법 성과로는 농민, 여성, 아동 복지 관련 법안들이 있으며, 특히 아동학대 가해자에 대한 징역형을 강화하는 법안 마련에 기여한 점은 잘 알려지지 않은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참조
[1]
뉴스
20대 국회의원 재산
http://mabu.newsclou[...]
SBS
2018-06-17
[2]
뉴스
[그사람] 왕을 탄핵하다니…'신민' 된 당원 향한 김세연의 저격
https://news.sbs.co.[...]
SBS
2022-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